본문 바로가기

🙂나의 공부 아카이브/공부정리

웹개발 용어정리

서버(Server) vs. 클라이언트(Client)

 

서버 :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

클라이언트 :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컴퓨터 

 

프런트엔드 (Front-end) vs. 백엔드(Back-end)

 

프런트엔드 : 우리가 웹을 열었을 때 볼 수 있는 화면을 만드는 작업 

ex) 레이아웃, 메뉴,디자인 요소, 버튼, 이미지 및 그래프 -> 사용자가 직접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

백앤드 :  사용자가 볼 수 없는 환경을 구성하는 영역 , 웹 개발 중 사용자가 필요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 

ex) 서버,데이터베이스,API 

 

풀스택(Full-Stack)

-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모두 다루는 것 

- 전체 소프트웨어 스택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모든 기술 및 구성 요소를

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능력

 

프레임워크(Framework)

-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되는 틀을 제공하는 프로그램 

- 목적에 필요한 것을 고민할 필요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가져다 쓸 수 있게 한 '구조화된 틀'

 

라이브러리(Library)

- 개발을 진행할 때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개발자들이 필요와 목적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 

미리 모듈화해서 모아놓은 기능들의 집합 

- 프로그래밍 할때 도서관처럼 찾아서 사용할 수 있다. 

 

플러그인(Plug-in)

- 내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어떠한 기능을 더하는 것 

- 기존 응용프로그램 or 시스템에 추가적인 기능이나 특징을 제공

 

미들웨어(middleware)

-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

- 개발자와 운영자가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배포하도록 돕는 소프트웨어 및

클라우드 서비스

 

마크업 언어(Markup Language)

- 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표시하는 언어

- 양식이 있는 문서의 한 종류 -> 양식을 태그 등으로 구분하여 문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

ex) HTML, XML 

 

검색 엔진 최적화(Search Engine Optimize)

- 검색엔진이 콘텐츠를 이해하도록 돕고, 사용자가 사이트를 찾고 검색엔진을 통해 사이트를

방문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돕는것 

- 웹사이트가 유기적인 검색방식을 통해 검색 엔진에서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과정

 

버그(Bug)

-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

- 프로그래머가 의도한 작업이 사용자의 기대를 크게 벗어나서 문제를 일으킬떄

 

에러(Error)

- 부정확하거나 유효하지 않은 동작

 

예외(Exception) 처리

- 프로그램 실행 흐름상 오류가 발생했을 때 그 오류를 대처하는 방법

- 프로그램 비정상종료를 막고 실행 상태를 유지하는 것 

 

트래픽(Traffic)

- 서버와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에서 일정시간 내에 흐르는 데이터의 양 

- 서버의 데이터 전송량 -> 서버에 접속을 많이 시도할수록 증가함 

 

데이터베이스(Database)

-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체계화 -> 통합,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

- 구조화된 정보 또는 데이터의 조직화된 모음

 

관계형 데이터베이스(Relational DataBase)

-  하나이상의 행과 열의 테이블에 저장되어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가  어떻게

관련되어 있는지 쉽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사전 정의된 관계로 데이터를 구성하는 정보 모음

-  엑셀 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동일함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쿼리(Query)

-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요청하는 것 

- 웹 서버에 특정한 정보를 보여달라는 웹 클라이언트 요청(주로 문자열을 기반으로 한 요청)에 의한 처리

 

API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

-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 (중간다리 역할)

 

오픈소스(Open Source)

- 소프트웨어 개발 툴, 라이브러리, 문서 패키지 

- 개발자들을 위한 플랫폼별 구축도구 세트 

 

SDK(Software Development Kit)

- 개발자에게 다른 프로그램에 추가하거나 연결할 수 있는 커스텀앱을 제작할 수 있는

기능을 제공하는 도구모음 

 

IDE(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)

- 프로그래머가 소프트웨어 코드를 효율적으로 개발하도록 돕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

-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처리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 

 

OS

- 컴퓨터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소프트웨어 

 

유닉스(Unix)

- 교육 및 연구 기관에서 즐겨 사용되는 범용 다중 사용자 방식의 대화식, 시분할처리

시스템용 운영체제 

 

리눅스(Linux)

- 리누스 토르발스가 커뮤니티 주체로 개발한 컴퓨터 운영체제 

- 자유 소프트웨어 / 오픈소스 개발의 유명한 표본 

 

스레드(Thread, 스레드)

- 프로그램 내에서 실행되는 특히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 

 

멀티스레드(Multi Thread, 멀티스레드)

-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둘 이상의 스레드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는 것

 

도메인(Domain)

-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게 문자로 만든 인터넷 주소

(영문, 한글 이용)

 

DNS(Domain Name System)

- 인터넷의 주소록 역할 

-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할 수 있게 해 줌 

 

프로토콜(Protocol)

-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규약

 

HTTP, HTTPS

- HTTP: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을 위한

통신 규칙 세트 또는 프로토콜

- HTTPS : 기존 http에 비해 보안성을 강화한 프로토콜

 

동기 방식(Sync.) vs. 비동기 방식(Async.)

- 동기 방식 : 데이터의 요청과 결과가 한 자리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것

- 비동기 방식 : 특정 코드가 끝날 때까지 코드의 실행을 멈추지 않고 다음 코드를 먼저

실행하는 것 

 

AJAX(Async JavaScript and XML)

 

-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서버와 브라우저가 비동기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기능 

- 자바 스크립트를 통해서 서버에 데이터를 비동기 방식으로 요청하는 것 

 

내일 배움 캠프 사전캠프 기간 동안 코딩 공부를 위해 웹개발 용어정리를 해두었다

- 출처 : velog (https://velog.io/@surim014/AJAX%EB%9E%80-%EB%AC%B4%EC%97%87%EC%9D%B8%EA%B0%80) 이외의 모든 velog , tistory ,  위키백과, 나무위키, 구글링